
<원고지 쓰는 법>
1. 원고지 앞장 첫째 줄은 비웁니다.
2. 둘째 줄 가운데에 제목을 씁니다.
3. 셋째 줄은 비웁니다.
4. 넷째 줄은 소속을 오른쪽으로 쓰는데, 끝에서 2칸을 비우고 소속을 씁니다
(학교내 글짓기일 때는 0학년 0반, 학교외 글짓기일 때는 00중학교 0학년)
* 교내 글짓기일 때는 그 학교 학생인 것을 알 수 있으니
대개 학교 이름을 안 씁니다.
5. 다섯째 줄 끝에서 2칸을 비우고 이름을 씁니다.
(성과 이름을 띄우지 않습니다. 단, 성이 두 자일 경우 성과 이름을 띄웁니다.)
* 성이 이, 이름이 순신일 경우---이순신
성이 허, 이름이 준일 경우---허 준
6. 여섯째 줄은 비웁니다.
7. 일곱째 줄에 1칸을 비우고 본문을 시작합니다.
<원고지에서 문장 부호 쓰는 법>
1. 물음표로 끝날 경우, 다음 칸에 따옴표를 씁니다.
2. 온점으로 끝날 경우, 같은 칸에 따옴표를 씁니다.
3. 느낌표로 끝날 겨우, 다음 칸에 따옴표를 씁니다.
4. 말줄임표는 한 칸에 세 점씩 쓰고, 다음 칸에 온점이나 반점을 쓰며,
그 다음 칸을 띄지 않습니다.
5. 말줄임표로 끝날 경우, 한 칸에 세 점씩 쓰고, 다음 칸에 온점과 따옴표를 씁니다.
(말줄임표로 문장이 끝나는 경우는 없습니다.)
3. 원고지에서 숫자와 알파벳 쓰는 법
원고지에 숫자와 알파벳은 1칸에 1~2자씩 씁니다.
예를 들어서 1이나 12는 한 칸에 쓰고,
123은 첫칸에 12, 다음칸에 3을 씁니다.
영어의 알파벳 역시 같은 요령으로 씁니다.

①원칙. ‘ㅂ불규칙’ 활용은 어간의 마지막 음인 ‘ㅂ’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‘우’로 변하는 것이 원칙.
깁다 : 기워 기우니 기웠다
굽다[炙] :구워 구우니 구웠다
가깝다 : 가까워 가까우니 가까웠다
괴롭다 : 괴로워 괴로우니 괴로웠다
맵다 : 매워 매우니 매웠다
무겁다 : 무거워 무거우니 무거웠다
밉다 : 미워 미우니 미웠다
쉽다 : 쉬워 쉬우니 쉬웠다
-가깝다, 가볍다, 간지럽다, 괴롭다, (고기를) 굽다, 깁다, 노엽다, 눕다, 더럽다, 덥다, 맵다, 메스껍다, 무겁다, 미덥다, 밉다, 사납다, 서럽다, 쉽다, 아니꼽다, 어둡다, 역겹다, 즐겁다, 지겹다, 차갑다, 춥다, 슬기롭다, 자연스럽다
②ㅂ받침이 남는 경우
좁다 : 좁아 좁으니 좁았다
잡다 : 잡아 잡으니 잡았다.
-(추위에 손이) 곱다, (허리가) 굽다, 꼬집다, (손을) 꼽다, 다잡다, 비집다, 뽑다, 수줍다, 씹다, 업다, 잡다, 접다, 좁다, 집다, 헤집다
③다만, ‘돕-, 곱-’은 ‘-아’와 만나 ‘와’로 쓴다
돕다[助] : 도와 도와서 도와도 도왔다
곱다[麗] : 고와 고와서 고와도 고왔다
ㅂ불규칙 형용사 연습 | ||||
가깝다 | Закрыть near | 가까워 | 가까우니 | 가까웠다 |
가볍다 |
|
|
|
|
간지럽다 |
|
|
|
|
괴롭다 |
|
|
|
|
굽다 |
|
|
|
|
깁다 |
|
|
|
|
노엽다 |
|
|
|
|
눕다 |
|
|
|
|
더럽다 |
|
|
|
|
덥다 |
|
|
|
|
맵다 |
|
|
|
|
메스껍다 |
|
|
|
|
무겁다 |
|
|
|
|
미덥다 |
|
|
|
|
밉다 |
|
|
|
|
사납다 |
|
|
|
|
서럽다 |
|
|
|
|
쉽다 |
|
|
|
|
아니꼽다 |
|
|
|
|
어둡다 |
|
|
|
|
역겹다 |
|
|
|
|
즐겁다 |
|
|
|
|
지겹다 |
|
|
|
|
차갑다 |
|
|
|
|
춥다 |
|
|
|
|
슬기롭다 |
|
|
|
|
자연스럽다 |
|
|
|
|
곱다 |
|
|
|
|
굽다 |
|
|
|
|
꼬집다 |
|
|
|
|
꼽다 |
|
|
|
|
다잡다 |
|
|
|
|
비집다 |
|
|
|
|
뽑다 |
|
|
|
|
수줍다 |
|
|
|
|
씹다 |
|
|
|
|
업다 |
|
|
|
|
잡다 |
|
|
|
|
접다 |
|
|
|
|
집다 |
|
|
|
|
헤집다 |
|
|
|
|
돕다 |
|
|
|
|
곱다 |
|
|
|
|